ca-pub-123

2025 재산세 납부 일정·감면 혜택 & 절세 꿀팁 총정리


2025 재산세 납부 일정·감면 혜택 & 절세 꿀팁 총정리

재산세는 부동산을 보유한 누구나 매년 납부해야 하는 지방세입니다. 특히 7월과 9월은 재산세 고지서가 발송되는 시기로, 납부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 일정, 과세 기준, 감면 혜택, 절세 팁과 카드사 무이자 혜택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
요약:
• 2025년 재산세 납부: 7월(주택)·9월(토지 및 나머지)
• 공시가격별 과세 기준, 감면 혜택, 연납 할인 제도 확인
• 카드 무이자·캐시백 혜택 활용해 부담 줄이기

1. 2025 재산세 납부 일정

재산세 납부 기간 과세 대상
7월 16일~31일 주택(아파트 포함) 1/2
주택 이외의 건축물
선박, 항공기
9월 16일~30일 주택(아파트 포함) 나머지 1/2
주택 이외의 토지

아파트 재산세는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뉘어 부과되지만, 토지 재산세는 9월에 일괄 부과됩니다. 총 세액이 20만 원 이하라면 7월에 한 번만 납부하면 됩니다.

2. 재산세 부과 기준과 계산 방법

재산세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해당 재산을 보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. 과세표준은 시가표준액 × 공정시장가액비율 × 세율(0.1%~4%)로 계산됩니다.

  • 시가표준액: 주택공시가격, 건축물 고시가, 개별공시지가
  • 공정시장가액비율: 주택 43~45% 적용
  • 세율: 재산 종류·가격에 따라 차등 적용

3. 2025 재산세 감면 혜택

1가구 1주택자, 임대사업자, 주택연금 가입자 등은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재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공시가격 구간 적용 비율
3억 원 이하 43%
3억~6억 원 44%
6억 원 초과 45%

4. 재산세 절세 꿀팁

① 6월 1일 이전 매매 타이밍
재산세는 6월 1일을 기준으로 소유자에게 부과됩니다. 예를 들어 6월 2일에 집을 매입하면 그해 재산세는 부과되지 않습니다. 매도 시에도 6월 1일 이전에 거래를 마치면 불필요한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② 공동명의라면 카드 결제 통합
배우자와 공동명의 주택은 각자 청구될 수 있는데, 한 카드로 묶어 결제하면 카드 실적 충족 및 캐시백 혜택을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.

5. 카드 납부 혜택 (2025년 7월 기준)

2025년 7월 현재 삼성·신한·국민카드 등에서 재산세 납부 고객을 대상으로 무이자 할부와 일부 캐시백 이벤트를 제공합니다.

카드사 혜택 내용 기간
삼성카드 6/10/12개월 무이자 할부 2025.07.01 ~ 07.31
신한카드 6/10개월 무이자 + 캐시백 2025.07.01 ~ 07.31
국민카드 5% 청구할인 (일부 이벤트) 2025.07.01 ~ 07.31

※ 혜택은 카드사 정책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반드시 확인하세요.

결론

재산세는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지만, 감면 제도나 카드 혜택을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납부 기한을 꼭 확인하고, 위택스·지자체 앱을 통해 빠르고 편리하게 납부하세요.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