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a-pub-123

💡 청년기본소득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

📚 청년기본소득 시리즈
1편: 신청 방법 총정리 | 2편: 청년내일저축계좌 비교 | 3편: 후기 & 자주 묻는 질문 | 4편: 꼭 챙겨야 할 청년 정책


청년기본소득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


청년을 위한 정책이 늘어나는 가운데,
청년기본소득청년내일저축계좌는 가장 자주 비교되는 제도입니다.
둘 다 장점이 있지만, 지원 조건과 목적이 완전히 다릅니다.
아래 표를 통해 어떤 제도가 본인에게 맞는지 확인해보세요.

📌 1. 지원 대상 비교

항목 청년기본소득 청년내일저축계좌
나이 만 24세 (경기도) 만 19~34세 (전국)
소득 조건 무관 중위소득 100% 이하
근로 조건 무관 근로 중이어야 함
거주 요건 경기도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전국 가능
청년기본소득 vs 청년내일저축계좌,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?

💸 2. 지원 금액과 방식

  • 청년기본소득: 분기당 25만 원, 연 최대 100만 원 (경기지역화폐)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매달 1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30만 원 추가 적립 (3년 후 최대 1,440만 원 수령)

🧭 3. 어떤 상황에 어떤 제도를 선택할까?

  • 📍 취업 전이거나 소득이 없는 경우 → 청년기본소득
  • 📍 근로 중이며 저축 가능 → 청년내일저축계좌
  • 📍 당장 생활비가 필요한 경우 → 청년기본소득
  • 📍 3년 뒤 목돈이 필요 → 청년내일저축계좌

⚠️ 4. 중복 가입 주의

주의:
- 청년기본소득 + 청년내일저축계좌는 함께 수령 가능
- 청년내일저축계좌 + 희망저축계좌는 중복 가입 불가
- 두 저축계좌는 가구당 하나만 선택 가능

📋 5. 신청하기

👉기본소득 신청

💰내일저축계좌보기
요약 정리 🧾
✔ 청년기본소득: 조건 적고 간단, 분기당 25만 원 지급
✔ 청년내일저축계좌: 조건 많지만 최대 1,440만 원 지원
✔ 상황에 따라 맞춤형 선택 필요
다음 이전